무늬 오징어 낚시 요령. > 남해낚시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부동산물건접수 남해건축은
청사초롱에게 맡기세요
HP : 010-3872-8301
 
Quick menu

남해낚시

낚시교실 | 무늬 오징어 낚시 요령.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청사초롱 작성일15-04-19 16:11 조회5,179회 댓글0건

본문

 

안녕하세요.

 

이제 무늬오징어 낚시시즌이 6월 말이면 닥아 옵니다.

 

6ff9c8a4fce8575f7047d85933e2f6e6_1429427

무늬오징어의 생태

 

 

남해안의 경우 보편적으로 수심 20m 내외면서 바위가 군데 군데 있는 모래바닥을 좋합니다.

봄이 끝날 무렵부터 초여름에 걸쳐 해조류가 있는 얕은 바다로 들어와 산란하며 성장이 빨라서 이때 태어난 새끼들이 가을에는 몸통길이가 20㎝ 정도로 자란다고 합니다.

 

 

늦겨울이 되면 30㎝를 넘습니다.

하지만 산란 시기나 성장 정도는 지역에 따라 매우 큰 차이가 있습니다.

작은 씨알이 많은 가을에도 1㎏을 넘는 대물이 잡히는 경우가 많기 때문 입니다.

따라서 더욱 자세한 생태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고 하는게 정확한 표현일 것 입니다.

 

 

 6ff9c8a4fce8575f7047d85933e2f6e6_1429427

 

 

 

 

 

 

 

무늬오징어의 습성과 식성

 

 

무늬오징어는 민물을 싫어하므로 강물이 흘러들어오는 지역은 피하고 넓은 바다에 접해있어 염분 농도가 높은 방파제나 갯바위 주변 적정한 포인트를 노려야 좋은 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근간 오징어 낚시의 장르는 에깅(EGI-ING), 즉 에기(EGI)라는 루어를 이용해 오징어를 낚는 낚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오징어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무늬오징어, 갑오징어, 화살촉오징어와 호래기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늬오징어 육식성으로 새우와 작은물고기가 주식으로 낚시는 초봄부터 초겨울까지가 시즌입니다.

그중에서도 지역에 따라 봄부터 초여름까지로 조금씩 차이가 나는 산란시기가 대물 조항을 이지만 

 

마릿수가 가장 많은 시기는 가을 입니다.

봄~초여름에 부화한 새끼들이 성장해 낚시에 낚이기 시작하기 때문 입니다.

 

 

 6ff9c8a4fce8575f7047d85933e2f6e6_1429427

 

무늬오징어낚시 방법

 

 

얼마 전까지만 해도 밤낚시가 주류를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에깅(EGI-ING)이 대중적으로 보급되면서 오후 해질무렵부터 낚시하는 꾼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낮 동안에는 해조류나 수중여 같은 장소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때에 따라서는 오히려 밤보다 좋은 조과를 거두는 일도 많습니다.

 

 

가을에는 해조류가 많은 갯바위 부근에 있는 무늬오징어를 눈으로 보면서 에기(EGI)를 공격하는 갑오징어를 직접 보는 것은 매우 흥분되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에깅(EGI-ING)으로 낮낚시를 하는 사람이 점차 많아지는 이유도 이처럼 밤낚시로는 느낄 수 없는 즐거움이 있기 때문일 것 입니다.

 

 

비시바시에깅 : 연속적인 롯드 액션으로 에기를 날렵하게 챔질하여 종, 횡 방향으로 에기를 민첩하게 튕귀듯 뛰어오르도록 하는 것으로 무늬오징어의 활성을 높여 히트로 연결하는 하나의 테크닉 입니다.

 

6ff9c8a4fce8575f7047d85933e2f6e6_1429427
 

 

 

포인트

 

 

 

 

낮에는 무늬오징어가 장애물 부근에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해조류, 수중여, 어선의 로프(밧줄) 등이 있는 곳이 포인트가 됩니다.

그밖에 조류가 흐르는 방파제의 끝부분과 곶부리 지형을 한 갯바위도 유력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늬오징어가 많이 낚이는 가을에는 수심이 1m 정도에 불과한 간출여 주변과 해조류가 서식하는 얕은 곳이 좋은 포인트가 되기도 하지만 파도가 높은 날에는 조과가 떨어집니다.

 

 

무늬오징어는 봄이 끝날 무렵부터 초여름에 해조류가 있는 얕은 바다로 들어와 산란하며 이 시기에 낚이는 씨알이 가장 큽니다.

 

 

남해에서는 미조면.삼동면 일대의 방파제나 수중여부근 갯바위가 좋은 포인트입니다.

대표적인 곳으로 상주배양장 방파제.설리 팔랑개방파제. 미조방파제.초전방파제.항도방파제. 대지포방파제.은점방파제.양화금방파제와 인근갯바위가 대표적인곳 입니다.

 

6ff9c8a4fce8575f7047d85933e2f6e6_1429427


낚시방법

 

 

무늬오징어낚시인 에깅(EGI-ING)은 매우 다양한 테크닉이 있지만 처음에는 아주 기본적인 동작만 알면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1.에깅(EGI-ING)의 기본 동작은 에기(EGI)를 던진 후, 바닥까지 가라앉히면서 늘어져 있는 낚싯줄을 팽팽하게

감아들인다.

2. 아래쪽을 향하고 있던 낚싯대끝을 위쪽까지 재빠르게 올린다.

낚싯대를 들어올리는 도중에 1~2회 정도 순간적으로 멈추거나 챔질하듯 튕겨준다.

이 동작으로 인해 에기(EGI)가 불규칙하게 움직이면서 무늬오징어를 흥분시키게 된다.

3. 낚싯대 끝을 위쪽 끝까지 올렸다면 다시 내렸다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때 낚싯줄이 느슨해져 있다면 릴을 감아 여윳줄을 살려야 한다.

4. 예전에는 단순히 낚싯대를 들어주는 동작만 했지만, 최근에는 낚싯대를 한번 움직여 주는 도중에도 1~2회

정도 순간적인 챔질 동작을 하는 게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또한 매번 다른 움직임이 연출되도록 낚싯대를 움직이는 것도 무늬오징어낚시에서 매우 중요한 점이다.

 

6ff9c8a4fce8575f7047d85933e2f6e6_1429427
 

 

 

 

낚시장비

 

 

낚싯대 : 에기(EGI)가 다이내믹하게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금 짧은 낚싯대를 사용하는 게 효과적 입니다.

2~2.5m 정도가 가장 적당하며 특히 에기(EGI)는 바늘이 몸체를 빙 둘러 있기 때문에 낚싯줄이나 가이드에 걸리는 일이 잦으므로 인터라인대를 사용하는 것도 권할 만 합니다.

 

 

릴 : 보통 2천번에서 3천번 스프닝 릴을 주로 사용하고 찌낚시용 릴이나 배스 루어낚시용 릴 모두 사용할 수

있습 니다.

 

 

낚싯줄 : 에기(EGI)가 원하는 대로 움직이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PE 라인을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나일론줄을 사용해도 별 지장은 없다.

PE라인은 0.8~1.5호가 적당하며, 나일론줄은 2~3호정도. 낚싯줄이 이보다 굵으면 조류나 바람의 영향

을 많이 받기 때문에 불리합니다.

나일론줄을 사용할 때는 에기를 바로 연결하면 되지만 PE라인은 리더라인(목줄)을 달아야 합니다.

리더라인은 플로트카본 목줄 2~3호를 1~1.5m 길이로 잘라 PE라인과 직결로 연결하면 됩니다.

 

 

에기(EGI) : 낚싯대를 움직여 에기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균형이 잘 잡힌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균형이 깨진 에기(EGI)는 액션이 나오지 않아 무늬오징어를 자극시키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6ff9c8a4fce8575f7047d85933e2f6e6_1429427
 

 

 

 

무늬오징어낚시 새로운 방법-‘챔질 에깅

 

 

챔질 에깅은 낮 낚시에 매우 효과적이라는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에기(EGI)를 멀리 던져 바다 밑까지 가라앉으면 낚싯대를 수직 방향으로 강하게 챔질하고, 곧바로 줄을 팽팽하도록 감은 다음 한번 더 강하게 챔질하고, 또 줄을 팽팽하게 만들어 한번 더 강하게 챔질한다.

이렇게 챔질을 몇번 반복하면 에기(EGI)가 중층 부근까지 떠오르게 된다.

 

 

이때까지 무늬오징어가 에기(EGI)를 공격하지 않으면 이번에는 낚싯대를 수평으로 눕혀서 아까와 같이 챔질을 반복하며 에기(EGI)에 액션을 준다.

이 동작을 반복하면 에기(EGI)는 종과 횡방향으로 크게 연속적으로 움직이며 무늬오징어를 강하게 자극하게 된다.

만약 무늬오징어가 보이는데도 에기(EGI)를 덥치지 않는다면 다른 방법을 쓰는 게 좋습니다.

 

 

무늬오징어는 에기(EGI)를 먹이로 착각해 공격하는 게 아니라 흥분하여 공격하는 것이다.

따라서 낚여 올라온 다음 먹물을 내뿜는 경우가 많으므로 옷을 버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무늬오징어는 산란이나 성장속도에 대한 연구로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성장이 빨라서 봄에 태어난 새끼들이 가을에는 몸통 길이가 20㎝ 정도로 자라고 겨울이 되면 30㎝를 넘는 녀석들이 많습니다.

 

 

무늬오징어는 에기(EGI)를 먹이로 착각해 공격하는 게 아니라 흥분하여 공격하는 것입니다.

<일부글은 참고 하였습니다> 

 

 

7230405d1c3322478144454107355910_1496736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5-11-02 17:23:53 낚시교실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남해낚시 목록

Total 114건 6 페이지
남해낚시 목록
[39] 낚시교실 호래기 요리 방법 인기글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4-20 | 조회수 : 5758
호래기 꼴뚜기는 십완상목 동물 가운데 일부를 부르는 말이다. 보통 오징어류 중 작은 것을 꼴뚜기라고 합니다. 창오징어(Loligo edulis)와 같은 큰 오징어의 새끼를 꼴뚜기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꼴뚜기과의 한치꼴뚜기(또는 한치오징어, 한치)를 대형 꼴뚜기로 반원니꼴뚜기를 소형 꼴뚜기로 분류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호래기는 꼴뚜기를 뜻하는 방언으로 10월말에서 11월이 제철 입니다. 소형 꼴뚜기 호래기는 우리나라 서해 남해 …
[38] 낚시교실 화살촉오징어 (호래기) 낚시 요령. 인기글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4-19 | 조회수 : 12920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5-11-02 17:23:53 낚시교실에서 이동 됨]
[열람중] 낚시교실 무늬 오징어 낚시 요령. 인기글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4-19 | 조회수 : 5180
안녕하세요. 이제 무늬오징어 낚시시즌이 6월 말이면 닥아 옵니다. 무늬오징어의 생태 남해안의 경우 보편적으로 수심 20m 내외면서 바위가 군데 군데 있는 모래바닥을 좋합니다. 봄이 끝날 무렵부터 초여름에 걸쳐 해조류가 있는 얕은 바다로 들어와 산란하며 성장이 빨라서 이때 태어난 새끼들이 가을에는 몸통길이가 20㎝ 정도로 자란다고 합니다. 늦겨울이 되면 30㎝를 넘습니다. 하지만 산란 시기나 성장 정도는 지역에 따라 매우 큰 차이가 있습니다. 작은 씨알이 많은 가을에도 1㎏…
[36] 낚시교실 대물 붕장어 낚시 노하우 요령. 댓글1 인기글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4-19 | 조회수 : 4405
안녕하세요, 알유알 낚시교실 코너에 뭐 획기적인 사냥방법이 없을까 궁리끝에 예전에 가끔 장난삼아 재미를 봤던 대물(이슬이병크기)붕장어가 내가 서있는 발밑에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믿거나 말거나 이왕 들어 왔으니 눈요기나 한번해 보세요, 위사진은 민물장어 입니다만 보편적으로 바다장어도 거의 같은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물이란 보통 500g 이상 약 1kg정도 되야 하지요. 힘으로 말할것 같으면 한손으로는 이길수가 없습니다. …
[35] 낚시교실 보트 선저 AF 도료에 대하여 ! 인기글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4-19 | 조회수 : 8154
보트 선저 AF 도료에 대하여 ! 해안가에서 바위에 붙어 서식하는 따개비를 다들 보셨을 겁니다. 이러한 따개비는 흡착력이 우수하여 선박의 바닥, 심지어는 커다란 고래의 피부에 붙어서도 서식을 합니다. 선박의 바닥에 따개비들이 붙으면 바닷물과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붙은정도에 따라 보트 속력과 연료의 효율이 최저 30%이상 감소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배의 흘수선 아래의 바닷물에 잠기는 부분에는 특수하게 만든 페인트인 선저도료(antifouling paint : AF)를 경하흘수선(輕荷吃水線) 아래쪽 선저부에 발라 해중생물(패…
[34] 낚시교실 물고기 집어등과 광고용 응용 요령. 댓글1 인기글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4-19 | 조회수 : 7092
안녕하세요. 낚시점에 엘이디 집어등이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직접 12V, 엘이디 집어등 만들기 응용과 (특히 배 집어등) 그리고 전기료를 획기적으로 아낄 수 있는 (220V 에서 12V 로 다운하여 3W 정도가 우리가 사용하는 형광등 20W 밝기응용) 주택. 사무실, 공장. 광고간접조명. 야외켐핑. 차량밧데리이용 등에 응용을 소개 합니다. LED 집어등 어선에 환한 조명을 달아 잡고자 하는 어종별로 색의 밝기를 달리해 고기를 모으는 기술이죠. LED 같은 경우 우리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기술이 되었고 이런 LED기술을 이용하여…
[33] 낚시교실 붕장어낚시 자작채비 만들기 요령. 댓글1 인기글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4-19 | 조회수 : 5822
안녕하세요. 청사초롱 붕장어 낚시 채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해 올립니다. 여름밤의 생활낚시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붕장어 낚시 입니다. 또한 배를 타지않아도 가족과 함께 방파제에서 갯펄자갈밭 지형의 수심 2m정도 이상이면 원투낚시로도 여름 최고의 보양식인 붕장어(아나고)를 낚을 수 있습니다. 남해의 주 붕장어 원투낚시터로는 창선면 당저리 해창방파제. 삼동면 금송리 전도마을 방파제. 삼동면 금송리 화천마을방파제가 좋습니다. 다만 붕장어는 한번 입질받으면 칭칭감아 낚시를 못쓸 정도로 엉켜 …
[32] 낚시교실 붕장어에 대하여.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4-10 | 조회수 : 2205
붕장어 경골어강(硬骨魚綱 Osteichthyes) 뱀장어목(―長魚目 Anguilliformes) 먹붕장어과(―長 Congridae)에 속하는 해 산 어류로 뱀장어와 비슷하며 몸빛깔은 등쪽이 암갈색, 배쪽은 흰색 입니다. 등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의 중앙부 약간 뒤쪽 윗부분에서 시작됩니다. 양턱의 이빨은 문치상(門齒狀)이고 앞끝은 절형(截形)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이제곧 5월 초순이면. 밤붕장어 낚시시즌에 돌입하여 10월말까지 청사초롱호로 남해군 삼동면 양화금 인근 양식장밑 수심 약10 ~20m지점의 샤니질…
[31] 낚시교실 낚시 (출조) 일기장에 대하여 !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3-15 | 조회수 : 2342
낚시 (출조) 일기장에 대하여 ! 안녕하세요. 스쿠버 다이빙의 경우에는 첫 입문일자 부터 평생동안 스쿠버다이빙 투어시나 자격증 등급레벨 향상시의 교육중에도 필히 잠수일기장을 기록하게 됩니다. 라이센스 등급업글시 필수 제출사항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자신의 잠수실력을 향상시키고 다음 투어시 유용한 자료로 매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스쿠버엔 리더격인 마스터 레벨라이센스와 낚시엔 오랜경험과 연륜을가진 낚시전문 가이드가 있습니다. 보편적으로 잠수 일기장에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사항들은 …
[30] 낚시교실 봄 감성돔 낚시요령.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3-13 | 조회수 : 5149
봄 감성돔 낚시 요령 남해도 전역에서 봄감시 4짜 5짜가 나오는 시즌 입니다. 높은 경계심·얕은 수심·먼 거리·느린 조류에 봄감성돔낚시가 쉽다는 사람도 있고 어렵다는 사람들도 있다. 대물 마릿수 라는 꿈같은 조과를 올리는 사람이 있고 입질 한번 못받는 사람이 있습니다. 봄감성돔낚시는 그 특징을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에게는 기회의계절 이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에게는 상실의계절 입니다. 봄감성돔은 경계심이 강합니다. 봄감성돔낚시는 수심이 얕고, 조류가 약한 내만권낚…
[29] 낚시교실 낚시대의 명칭과 종류.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3-10 | 조회수 : 6312
● 낚시대의 명칭과 종류. 낚시대에 생명 이라고도 말 할수있는 탄력에는 어디에 엑샌트를 주느냐에 따라 휨새가 달라 집니다 ◑ 경조(경질)란 ? 초리대 가까이에 휨새의 기점이 오는 것을 끝휨새 라하여 초보자들이 다루기 편 하고 대를 휘둘러 채비를 목표 지점에 착수 시키가 편한 대물낚시대를 말 합니다. ◑ 연조(연질)란 ? 초리와 손잡이대의 중심부분에 기점이와 마치 포물선을 그리는 것 같이 휘는 대를 허리휨대 라 하여 일단 바늘에 걸린 물고기를 낚아 올리…
[28] 낚시교실 감성돔 포인트 선정요령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3-10 | 조회수 : 3387
감성돔 포인트 선정방법 물고기의 어떤 어종 이라도 포인트를 결정하는 요소로는 물때, 조류, 갯바위 형태, 수심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감성돔의 특성과 그 회유를 이해하고 시기에 맞춰서 출조지를 선정하고 감성돔낚시의 조건들을 잘 살펴서 구체적인 포인트를 결정한다면 어렵지 않게 감성돔낚시를 즐길 수 있습니다. 갯바위에 안착하면 가장먼저 포인트 여건을 살펴야 하는데 물속 지형도 물위 갯바위와 거의 흡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높은지형에 올라가 우선적으로 갯바위 지형탐색 그림을 그려 보면 웬만한 수중여나 조류의 전체적인 움직임들을 한눈…
[27] 낚시교실 감성돔 낚시에서의 조류. 댓글1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3-09 | 조회수 : 2331
감성돔 낚시에서의 조류 ◑ 조류의 방향 읽기 조류의 흐름을 육안으로 읽을 수 있는 방법은 갯바위에 낚싯배가 접안하는 도중 선미를 보면 배를 안정적으로 접안할 때 스크류 유속방향이나 용승조류의 포말. 부근에 자라고 있는 해조류의 방향으로도 조류의 흐름과 방향을 알 수 있습니다. 조류파악은 갯바위에 내렸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입니다. 조류를 방향과 대충 짐작되는 유속을 알아야 포인트를 선정하고 수중여의 용승조류 밑밥투척 위치와 채비를 던질 위치를 예상하기 때문 입니다. …
[26] 낚시교실 용승조류 감성돔 공략요령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3-09 | 조회수 : 2252
■ 용승조류란? 곧 닥아올 5~6월이면 산란을 끝내고 먹이활동을 위해 감성돔 활성도가 높아지는 시기의 조경지대 감성돔 공략요령입니다. 낚시에서 조류를 읽을줄 아는 낚시꾼은 게임에서 이미 50% 승률을 가졌다고 말합니다. 조류들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큰 조류를 말하는 대조류부터 본류대와 지류대, 속조류와 가지조류, 와류대, 용승조류, 조경, 합수. 등 입니다. ◑ 대조류는 달의 인력에 의해 생기는 밀물과 썰물 즉, 한반도 전체 조류를 말합니다. 그 대조류가 섬과 섬…
[25] 낚시교실 감성돔 낚시 요령.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3-09 | 조회수 : 3112
감성돔 낚시요령 감성돔은 도미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며 경계심이 강하고 성전환을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보통 수심이 약 5-50m의 모래 바닥에 서식하지만 암초지역에도 많고 때로는 기수에까지 올라 옵니다. 어릴 때에는 무리를 지어 생활하지만, 성어가 되면 한 마리 또는 여러 마리씩 행동 합니다. 어릴 때에는 정상적인 정소를 가진 수컷이지만 부화한지 1년이 지나 몸길이가 10cm 정도로 자라면 정소의 내벽에 암컷의 특징인 난세포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2년 정도 지나면 난소가 발달하여 정소와 함께 존재하는 양성이 된다고하죠. …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nam.dafara.com.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