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교실 | 물때와 조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청사초롱 작성일15-02-14 15:07 조회2,104회 댓글0건본문
물때와 조류
1.물때현상의 과학적 규명
달과 태양의 인력이 지구에 작용하여 해수면이 주기적으로 올랐다가 내려가는 현상을 물때현상이라 합니다.
달과 지구, 태양의 배열이 한달에 2번씩 일치하므로 15일주기로 해면이 높았졌다 낮아졌다하는 현상이 반복됩니다.
2.물때란 무엇인가?
물때는 해수의 수평운동을 조류의 강약위주로 파악하기 위하여 편의상 1물에서 15물(조금)로 정하고 음력 한달을 15일 주기로 구분한 것 입니다.
1물에서 7물(한사리)까지 점차 물이 빨라지고 조서간만의 차가 커집니다.
8물에서 15물(한조금)까지는 물이 느려지고 조서간만의 차가 점차 줄어듭니다.
3.순수 우리글에서 느끼는 선조들의 지혜가 주는 물때의 의미 해석
우리글에는 한매(1물), 두매(2물), 무릎사리(3물), 배꼽사리(4물), 가슴사리(5물), 턱사리(6물), 한사리(7물), 목사리(8물), 어깨사리(9물), 허리사리(10물), 한꺾기(11물), 두꺾기(12물), 선조금(13물), 앉은조금(14물), 한조금(15물)로 불리는데, 그 해석은 3물(무릎사리)에서 점차 물의 기운이 세어진다는 의미이며 물은 11물(한꺽기)에서나 물의 양이 줄어들고 물이 점차 늦어짐을 알수있습니다.
실제로 8물(목사리)와 9물(어깨사리)에서 사리보다 간만의 차가 크고 물이 세게 흐름을 종종 느끼게 됩니다.
4. 물때의 지역별 이해
바다고기는 어떤 물을 좋아 할까?
돔 종류는 물이 빠르고 흐린 물을 좋아 합니다.
항상 물이 흐리고 빠른물을 좋아할까? 지역에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남해를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남해 동부권(동해권포함)은 원래 물이 맑기 때문에 흐린물때가 좋고 왼쪽에 위치한 남해서부권(전라도권) 서해 남부권은 원래 물이 흐리기 때문에 물이 맑은 때가 좋다고 보겠습니다.
물이 흐리면 고기의 경계심이 없어지고 부유물질이 많아져서 활성도가 높아지고 먹이활동이 왕성해져 입질이 많아 집니다.
언제 물이 맑아지고 흐려지는 것일까? 하고 궁금해지면 그것이 물때 입니다.
이동하는 물의 양이 많으면 물은 흐려지고 조류가 빨라지면서 조서간만의 차가 커진다.
이동하는 물의 양이 적으면 조류가 느려지며 물이 맑고 간만의 차가 적어진다.
물은 하루 중에도 다양하게 변합니다.
바다꾼들은 '오늘 물때가 좋다'. '물때가 안 좋다'라고 표현 합니다.
4.낚시꾼들의 물때 응용
남해동부권은 6물에서 9물까지가 좋은 물때이고, 호남권인 남해서부와 서해남부권은 1물에서4물까지를 적기로 보면 됩니다.
11물, 12물은 물의 기운은 꺾이나 탁한 물이므로 물이 맑은 지역에서 활용해볼한 물때입니다.
13물에서 한조금은 선상 외줄낚시의 적기이죠.
그러나 강한 본류대의 영향을 받는 포인트는 조금때에도 좋은 여건이 될 수있습니다.
5.들물과 날물의 응용
남해동부에서 들물이 시작하여 서해까지 부산에서 인천까지 약 10시간, 조서간만 차는 7m정도 난다고 합니다.
하루 약6시간주기로 물이 많이 들어와서 해면높이가 높은 시기를 만조, 해면 높이가 낮은시기를 간조라고 하며 그때부터 물이 들기 시작하면 편의상 2시간 간격으로 초들물, 중들물, 만조로 이어지고 다시 2시간 간격으로 초날물, 중날물, 간조로 하루 2번의 들물, 날물이 있습니다.
가장 좋은시기는 물돌이가 시작되는 초들물과 초날물이 유리하고 수심이 낮은 지역은 중들물, 끝들물, 초날물이 좋고, 수심이 깊은 지역은 중들물, 중날물이 적기 입니다.
포인트는 사리때는 물이 너무 살아 있으니 홈통을 끼고, 죽는 물때는 곶부리 지형을 차지 하라가 정석 입니다.
6.조류를 보고 대물을 느낀다.
낚시하는 날에 물때시간을 알고 몇물인줄 알았으면 생소한 포인트에서는 조류에 움직임을 파악해야 합니다.
제일 어려운 점은 바람은 완쪽으로 부는데 조류는 오른쪽으로 흐른다면 초보조사들이 풀어야 할 과제이죠.
본류대 공략이냐? 지류공략이냐? 목적을 정해놓고 조목이나, 조경지역을 찾고 종조류및 횡조류를 공략하는데 조류는 물때의 영향으로 왼쪽,오른쪽, 갯바위쪽으로 시시각각 변화하며 흐릅니다.
만약 여러분이 낚시하는 자리에서 난바다로 뻗어나가는 조류를 발견했다면 그날에 틀림없이 대물 감성돔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그날이후 수중여 주변에서 혹은 홈통지역에서 반전조류(용승조류)와 지류대를 발견해 낸다면 물때와 조류를 완전히 이해한 조사님이 된 것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