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돔 낚시 요령 > 남해낚시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부동산물건접수 남해건축은
청사초롱에게 맡기세요
HP : 010-3872-8301
 
Quick menu

남해낚시

낚시교실 | 감성돔 낚시 요령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청사초롱 작성일15-02-06 11:59 조회5,968회 댓글0건

본문

​​

감성과 지성을 겸비한 "바닷고기의 제왕"





안녕하세요.

감성돔은 우리나라 바다낚시를 대표하는 어종입니다.

동서남해 전역에 서식하고, 사계절에 걸쳐 낚이는 바닷고기는 감성돔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남해 이곳 저곳에서 5짜 대물을 낚았다는 낚싯꾼들의 얘기가 들려옵니다.

게다가 매력적입니다.
은빛 찬란한 자태와 늠름하고도 강인한 등지느러미는 가히 '바닷고기의 제왕'이라 일컬을 만하고, 밝고 예민한 시각, 청각. 후각에서 비롯되는 민첩성은 낚시의 온갖 채비와 기법의 묘미를 만끽하게 합니다.

그리하여 갯바위 선상. 방파제, 찌낚시. 맥낚시. 원투낚시.카고낚시. 루어낚시 등, 다양한 장소에서 온갖 기법이 구사되는 감성돔낚시야말로 바다낚시의 시작이요 완성입니다.



 

 

● 감성돔낚시의 사계절 패턴

수면에서 몸을 뒤채는 감성돔. 마지막 바늘털이를 당하지 않기 위해선 낚싯대의 탄력과 원줄의 장력이 끝까지 잘 유지되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3년이상자라 낚시 대상어로 충분히 성장한 감성돔은 대부분 서식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단거리 회유를 되풀이 합니다.

4~6월은 산란을 끝내고 산란장 주변에서 회복기를 거친 이후로 내만에 풍부한 갯지렁이 · 새우.게 등 영양가 높은 먹이들을 섭취하며 활성이 좋아지는 시기입니다.

가을로 접어들면 가장 좋은 조과를 보입니다.
적수온에서 보여주는 높은 활성과 다가오는 겨울 저수온기 월동준비를 위해 끊임없이 먹이섭취활동을 합니다.
먹이가 풍부한 갯바위 암초대. 양식장. 방파제 등에서 어영(魚影)을 짙게 드리웁니다.
이때야말로 가장 낚시가 쉬운 시기로 밑밥과 미끼에 곧잘 반응하여 마릿수로 낚을 수 있습니다.

겨울철로 접어들어 점점 수온이 하강하면 작은 씨알들은 활성이 약해져 깊은 수심의 암초대, 어초 등 안전한 은신처에서 먹이활동을 거의 멈추고 체력소모를 줄이면서 월동에 들어갑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상대적으로 적응력이 강한 40㎝ 이상의 대물은 계속해서 먹이활동을 합니다.
즉, 대형 감성돔이 선택적으로 낚이는 대물 시즌이 시작되는 것이죠.






대형 감성돔은 주로 참갯지렁이. 새우. 쏙. 게. 개불. 멸치. 조개 등과 같은 큰 먹이를 선호하지만 이러한 먹이들을 찾기 어려운 저수온기에는 갯바위 가까이 접근하여 김. 담치. 굴 등을 찾아 먹게 됩니다.
이것이 여름철에 보기 힘든 대형 감성돔이 저수온기에 자주 낚이는 이유입니다.
베테랑 낚시인들은 겨울철 저수온기를 마릿수는 적지만 감성돔 기록경신의 최적기로 보고 있습니다.

이렇듯 감성돔낚시는 연중 가능하지만 내만권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봄에는 포란. 산란 등으로 약해져 입질이 시원하지 않습니다.
산란을 마친 이후 차츰 원기를 회복한 감성돔은 왕성한 활력을 보이며 늦여름부터 초겨울에 걸쳐 최고의 시즌을 맞습니다.
한 마리를 낚아도 대물을 낚겠다는 낚시인은 1~3월의 한겨울에서 초봄을 최고 시즌으로 꼽습니다.

 





● 감성돔이 잘 낚이는 조건

감성돔 자태 이모저모 살펴보면 광채를 뿜는 예리한 눈빛, 송곳니와 어금니로 겹겹이 무장한 치아, 그리고 은빛 갑옷을 두른 듯한 비늘, 곧추 세운 등지느러미에서 감성돔의 위용이 느껴집니다.
감성돔은 먹이가 많은 장소를 좋아하므로 그 주변에 머물러 살기도 하지만 흐르는 조류를 따라 이동하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는 장애물에 의지하기를 좋아하므로 강한 조류와 파도 등으로 물색이 흐려지거나 해가 져 어두워져야 경계심이 약해져 갯바위 가까이까지 다가옵니다.




 

● 날씨

감성돔은 경계심이 강해 맑은 날보다는 흐린 날에 보다 좋은 조과를 보입니다.
갯바위낚시의 경우에는 그 정도가 더 큰 편으로, 바람과 파도가 강한 날 또는 그 다음날에 입질이 잦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물색이 적당히 흐려짐에 따라 감성돔의 경계심이 약해져 갯바위에 접근하므로 상대적으로 씨알, 마릿수 재미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죠.






● 물때

일반적으로 조류가 잘 흐르고 물색이 흐려지는 사리 전후가 좋은 물때입니다.
감성돔의 활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다만 평상시에도 조류가 빠르고 물색이 흐린 지역의 경우는 반대로 조류가 약해지는 조금 전후가 적기가 되는 등 지역 차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좋은 물때 중에서도 일반적으로는 밀물 시간(특히 밀물이 시작되는 초들물 때)이 유리한 편이지만 감성돔이 조류를 따라 외해에서 들어오는 여건에서는 밀물이나 썰물에 관계없이 적당한 속도의 조류가 흐르고 물돌이때 입질이 기대되지요.

같은 도미과 어류 가운데 돌돔이나 벵에돔은 물때의 영향이 확실하게 나타나는 데 비해 감성돔은 입질이 좋은 물때와 밀⦁썰물의 시간대가 지역과 포인트에 따라 복잡한 변수로 작용하곤 합니다.

 





● 시간

다른 어종과 마찬가지로 해가 뜨기 직전의 새벽과 해가 지는 초저녁이 최고의 시간대입니다.
이는 감성돔의 경계심과 관계가 깊고 계절에 따라서는 수온과도 관계가 깊습니다.
수온이 너무 높은 여름철에는 상대적으로 수온이 낮은 새벽과 오전에 입질이 집중되고 수온이 너무 낮은 겨울철에는 수온이 약간이라도 회복되는 오후에 입질이 나타납니다.
수온이 높은 여름부터 가을철에는 야간에도 감성돔이 잘 낚입니다.





 

● 감성돔 포인트 선정 이렇게!

조류 소통이 원활하고 해조류와 갑각류 등의 먹잇감이 풍부한 간출여 주변은 감성돔낚시의 1급 포인트가 됩니다.
서해안의 여치기는 김과 파래가 무성한 봄철이 시즌입니다.
감성돔 포인트는 감성돔 고유의 생태와 습성을 유지하기에 적합한 여건이 갖추어지고 위에서 설명한 잘 낚이는 조건에 해당되는 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들 여건이 모두 충족되는 장소라면 이미 유명 포인트로 알려져 있을 것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아무리 유명한 포인트라 할지라도 계절과 바람⦁조류 등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나기 마련입니다.







◑ 포인트 형성의 기본요소

감성돔 포인트는 대부분 조류가 막히는 장애물 옆에 형성됩니다.
즉, 막힘없이 흐르던 조류가 장애물(간출암⦁수중여 등)에 부딪쳐 약화되면서 지류나 반전류가 생기는 안쪽에 형성됩니다.

이곳이 포인트가 되는 이유는 감성돔이 지나치게 강한 조류 속에서는 견디기가 힘들고 물살이 적당한 장소일수록 먹이가 모이며 산소공급도 원활하기 때문이죠.

이와 같은 좋은 포인트라 할지라도 물살이 강한 사리 때와 중들물 및 중썰물 시각에는 상대적으로 조류가 약한 안쪽이 보다 유리하고 반대로 물살이 약한 조금 때나 밀⦁썰물의 세력이 약한 시간대에는 상대적으로 조류가 강한 바깥쪽이 더 좋은 포인트가 됩니다.

이와는 달리 만일 조류가 정면으로 부딪치는 절벽 밑이라면 비교적 물살이 약한 초들물 또는 밀물이 거의 끝나는 시각에만 잠깐씩 포인트가 형성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최상급 포인트의 조건

감성돔의 은신처 역할에 적합하고 플랑크톤에서 상위 포식자로 이어지는 먹이사슬이 존재하는 장소입니다.
즉, 크고 작은 암초나 바위 등 장애물이 흩어져 있는 곳, 적당한 수심(5~15m)을 유지하면서 조류 소통이 원활하고 먹이가 풍부해 감성돔이 서식 또는 회유하기 좋은 곳을 말합니다.

 

◑ 물때 포인트

감성돔의 은신처로서 또 먹이 공급처로서의 여건에 부합되지만 조류 소통이 약해 파도가 심한 날 또는 조류 흐름이 왕성한 사리 물때 전후에만 포인트로 변하는 장소입니다.


◑ 회유 포인트

외해로 길게 뻗은 돌출된 콧부리 지형으로 조류 소통이 원활하여 회유하는 감성돔이 지나는 길목이라면 좋은 포인트가 됩니다.


◑ 물골

포인트와 포인트 사이, 섬과 섬 사이 등 감성돔이 회유하면서 반드시 거쳐 지나가는 물길로 지목되는 곳이 좋은 포인트가 됩니다.

 

◑ 갯바위 절벽

갯바위 근처 수심이 10~30m 정도로 깊고 완만한 조류가 흐르는 장소라면 감성돔이 저수온기에도 체력을 유지하며 쉴 수 있으므로 좋은 포인트가 됩니다.

 

◑ 제방, 방파제 등

은신처 역할은 물론 먹이가 풍부하고 조류 소통이 안정적인 방파제나 석축, 방조제라면 감성돔낚시의 좋은 포인트가 됩니다.
특히 새로 축조된 방파제나 방조제, 간척지 등의 제방 기초석이나 테트라포드 주변이 특급 포인트가 되곤 하지요.
투입된 인공 구조물에는 점차 해조류와 패류가 붙고 게나 갯지렁이 등의 먹잇감이 많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 양식장 주변

굴 · 홍합 · 멍게 · 김 등의 수하식 양식장 주변은 항상 감성돔의 은신처가 되며, 당연히 먹잇감이 풍부하고 조류 소통도 원활하므로 최적의 감성돔낚시 포인트 입니다.

 


 

● 감성돔낚시의 지역별 특징

남해안의 감성돔낚시는 북동풍이 불거나 폭풍주의보가 해제된 직후, 파도가 일면서 물색이 적당히 흐릴 때가 찬스 입니다.
그리하여 남해안 감성돔은 파도 속에 피어나는 꽃 입니다.
우리나라 감성돔은 계절에 따라 대부분 일정한 회유 패턴을 보여주지만 지역 특징에 따라 차이를 보입니다.
예를 들면 서해안에서는 봄에도 감성돔이 잘 낚이지만 남해안에서는 가을부터 성수기를 맞습니다.


① 남해 및 다도해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광범위하게 펼쳐진 다도해 거의 전역이 감성돔 낚시터가 되지요.
지역을 분할해 보면 가덕도~거제권, 통영~고성~삼천포~남해권, 여수~고흥권, 완도~해남~진도권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각각 물 때. 조류. 수온. 물색 등 자연조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므로 출조 전에 항상 현지의 상황을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② 원도권
여름~가을의 제철은 물론이고 연안의 수온이 하강하는 겨울에도 수온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원도권에서는 섬 주변에서 감성돔낚시가 잘 됩니다.
수많은 원도 중에서 가장 여건이 좋은 가거도 · 추자도 · 거문도 등이 겨울 감성돔 3대 순례지로 꼽히지만 늦가을이면 남해도가 유명한 감성돔 포인트가 됩니다.






 

● 감성돔 요리

잘 익은 감성돔 소금구이 감성돔은 낚는 방법만큼이나 먹는 방법도 다양합니다.
회는 물론 구이. 찜. ·튀김. ·조림. 탕 등 어떤 요리를 해도 맛있습니다.
낚시로 잡은 감성돔은 역시 회가 우선이죠.
참돔과는 좀 다른 풍미를 즐길 수 있는데 보다 맛있게 먹기 위해서는 낚자마자 충분히 피를 빼고 보냉력이 좋은 아이스박스에 보관해 두도록 하여야 합니다.
지방질이 듬뿍 오른 겨울 감성돔은 회를 뜨더라도 한 번 얼음물에 담가 주물러 주면 살이 수축되면서 보다 좋은 식감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회를 뜨고 남은 머리와 뼈로는 소금으로만 간을 해 맑은탕(지리)을 끓이면 감성돔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잔챙이는 소금구이가 산란 직후의 여윈 감성돔은 튀김이 제격입니다.
튀김옷을 입히지 말고 소금과 후추만으로 간을 한 후 그대로 튀겨냅니다.
감성돔 튀김은 고급 술안주이자 어린이들도 좋아하는 요리입니다.
<일부사진등 펌 편집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남해낚시 목록

Total 114건 8 페이지
남해낚시 목록
[9] 낚시교실 낚시대 관리및 보관요령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2-17 | 조회수 : 5746
​ ​​  낚시대 관리및 보관 요령 바닷물은 소금기. 그러니까 염기가 어느정도의 부식성을 가지고 있으며 바닷물의 염도는 남해안이 약34퍼밀 정도입니다. 염분기는 쇠도 부식을 시키므로 염기가 계속적으로 부착하여 있고 세척을 게을리하면 생각보다 더 부식성을 가지게 됩니다. 예를들어 승용차로 해변가를 일주를 했다면 당연히 차 밑바닥도 세차를 해주는것과 같이 낚싯대나 릴. 도구등도 바다에 출조한 직후 미지근한 민물에 담궈 두거나 닦아 세척해 주셔야 합니다. ​ ​ ​ ​ …
[8] 낚시교실 볼락루어 낚시에 대하여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2-16 | 조회수 : 25108
 ​​  볼락 루어낚시 안녕하세요. ​ 언제부터인가 감성돔 낚시가 바다낚시의 전부인양 인식되어 바다 낚시인들의 대부분이 연중 감성돔에 매달 립니다. ​ 그러나 볼락은 사계절 제맛을 지닌 낚시 이지만 산하에 단풍이 드는 가을부터 눈이 내리전의 초겨울에는 감칠맛 나는 볼락낚시의 즐거움의 재미를 권하고 싶습니다. 밤에 피는꽃인 볼락 루어낚시는 최근 새로운 장르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야행성 어종인 볼락은 천기를 읽는다는 말이 있듯이 기후변화에 아주 민감한 암초어(rockfish) 어종입니다. ​ 주…
[7] 낚시교실 빈산소 수괴 청물에 대하여.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2-16 | 조회수 : 3927
 ​​  빈산소 수괴(貧酸素 水塊) 안녕하세요. 바닷물의 산소(이하 용존산소) 농도가 줄어 3㎎/L 이하일 때 발생하는 '산소부족 물덩어리'로서 흔히들 어민이나 낚시인들이 청물 이라고 말합니다. 매년 5월 말에서 우리나라 전국 연안의 폐쇄성 내만에서 발생해 10월 중순까지 지속 됩니다. 보통 하계 고수온기에 표층의 수온은 높고, 저층 수온이 낮아 수괴가 연직으로 성층될 때 발생하지요. 빈산소수괴가 발생하면 어폐류의 폐사와 양식장 등의 피해로 이어지며 전혀 낚시가 될 수도 없습니다. 낚시 출조시 바다가 …
[6] 낚시교실 순간접착제 사용법 소개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2-16 | 조회수 : 3086
 ​​   ​​  순간접착제 &lt;?xml:namespace prefix = o /&gt; 안녕하세요, 낚시인들이 주로많이 사용하는 순간접착제 사용법과 보관법, 제거법을 제나름데로 올려볼까 합니다. 순간 접착제는 코닥연구소의 해리 쿠버 박사가 소총 조준경에 사용할 특수 고투명 플라스틱을 만들기 위해 실험하는 도중에 1942년 발명 하였다고 합니다. 1958년에 더 유용한 형태로 개발하여 상품화 하였고 1980…
[5] 낚시교실 볼락루어 리트리버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2-14 | 조회수 : 2754
 ​​  볼락루어 리트리브( retrieve ) ​ 안녕하세요.​ &lt;?xml:namespace prefix = o /&gt; 볼락루어낚시에서 캐스팅이 낚시의 절반이라면 또한 리트리브도 그만큼 중요합니다. 고기를 잡고 못 잡느냐와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정확히 캐스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면 이제 어떤 지그헤드의 무게로도 내가 공략하고자 하는 수심 층을 벗어나지 않고 자연스럽게 웜이 유영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합니다. ​ ​ ​ …
[4] 낚시교실 물때와 조류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2-14 | 조회수 : 2105
 ​​  ​ ​ ​​  물때와 조류 ​ ​ 1.물때현상의 과학적 규명 달과 태양의 인력이 지구에 작용하여 해수면이 주기적으로 올랐다가 내려가는 현상을 물때현상이라 합니다. 달과 지구, 태양의 배열이 한달에 2번씩 일치하므로 15일주기로 해면이 높았졌다 낮아졌다하는 현상이 반복됩니다. 2.물때란 무엇인가? 물때는 해수의 수평운동을 조류의 강약위주로 파악하기 위하여 편의상…
[3] 낚시교실 조류 읽기 기본 요령.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2-12 | 조회수 : 2865
 ​​  ​ ​​  ● 조류 읽기의 기본 &lt;?xml:namespace prefix = o /&gt; 세심한 관찰로 조류가 변하는 지점을 찾아야 합니다. 조류 속도와 물밑지형을 고려해 자신의 채비와 밑밥의 동조 움직임을 상상하며 낚시하는 것은 초보수준을 빨리 뛰어넘을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 입니다. 출조 횟수가 잦은데도 유난히 실력이 늘지 않는 낚시인을 유심히 살펴보면 한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 자신이 현재 어떤 상황에서 낚시하고 있는지 신경을 쓰지 않는다는 …
[2] 낚시교실 봄 도다리낚시 요령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2-09 | 조회수 : 3885
 ​​   ​​  봄 도다리 낚시와 쑥국 안녕하세요. &lt;?xml:namespace prefix = o /&gt; 청정지역인 FDA 남해의 앞바다를 제집처럼 차가운 바닷물 바닥을 헤집고 다녔을 봄도다리와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얼엇던 땅을 뚫고서 남해의 해풍 맞고 자란 햇쑥! "밥이 보약이다!"는 말을 실감하면서 봄의 전령사 도다리낚시와 햇쑥으로 계절의 별미 도다리쑥국을 드셔보세요. ​ ​ ​ ​ 도다리 낚시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
[열람중] 낚시교실 감성돔 낚시 요령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자 : 청사초롱 | 작성일 : 2015-02-06 | 조회수 : 5969
 ​​  감성과 지성을 겸비한 "바닷고기의 제왕" 안녕하세요. 감성돔은 우리나라 바다낚시를 대표하는 어종입니다. 동서남해 전역에 서식하고, 사계절에 걸쳐 낚이는 바닷고기는 감성돔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남해 이곳 저곳에서 5짜 대물을 낚았다는 낚싯꾼들의 얘기가 들려옵니다. 게다가 매력적입니다. 은빛 찬란한 자태와 늠름하고도 강인한 등지느러미는 가히 '바닷고기의 제왕'이라 일컬을 만하고, 밝고 예민한 시각, 청각. 후각에서 비롯되는 민첩성은 낚시의 온갖 채비와 기법의 묘미를 만끽하게 합니다. 그리…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nam.dafara.com.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